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알랭 드 보통 「여행의 기술」, 일탈과 일상 그 경계
    2013. 4. 6. 10:36
    반응형

     

     

     

     

     

     

     

    3. 21. - 3. 26.

    알랭 드 보통 「여행의 기술」

     

     

     

     

     

     

     

     

     

     

    수많은 기대를 가지게 하는 여행. 하지만 다른 현실.

    그러나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수용성. 이 모든 것이 여행이기 때문.

     

     알랭 드 보통의 여행 에세이, 「여행의 기술」 작가는 책과 여러 인물과 함께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그곳에서 우리가 여행을 가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발견하고 담담하지만 부드럽게, 자신이 느낀 바와 경험한 바를 곁들여가며 설명한다.

     최근 들어 여행은 대중적인 것이 되었다. 자전거도로와 레일로Rail-路라는 여행 상품의 발달로 큰 비용부담 없이, 그리고 인터넷의 발달과 각종 여행커뮤니티와 블로그를 통해 함께 여행할 동반자까지 구할 수 있어 20대뿐만이 아니라 누구든지 일상의 책임과 쳇바퀴 반복되는 삶에서 벗어나 미지의 아름다움이 가득한 곳 - 일상만 벗어나면 그 어디든지 미지의 세계이다. - 으로 떠나고자 한다. 주변의 친구들을 보면 학기 내내 알바를해서 돈을 벌거나 열심히 공부해서 받은 장학금으로 방학마다 여행을 떠난다. 물론 나 역시 많은 여행을 계획하고 있고 시간은 많고 돈이 없기에 저비용 고효율의 여행을 매일 찾고 있다.

     

     <여행의 대중화> 때문에 왜 여행을 떠나고, 무엇을 얻기 위해 출발하는지 곰곰이 생각도 않은 채 무작정 발을 내딛는 사람이 많다. 세상은 수천 가지 알 수 없는 미지와 우연, 변수로 가득하기에 우리는 무작정 떠나더라도 순간의 아름다움과 우연의 행복, 갑작스러운 인연을 만나곤 한다. 그러고는 "역시 여행은 무작정 떠나야 해!"라는 관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무작정 여행>은 어학 연수와 같다. 무작정 여행의 여행객은 필수 스펙으로서의 어학연수 때문에 필요도 욕구도 희망도 없이 유학생활을 시작한 유학생이다. 유학 역시 새로운 환경에서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 음식, 음악, 분위기, 환경, 자연에서 느낄 수밖에 없는 그 무엇이 있다. 그러나 무엇도 가지고 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무작정 여행>과 <무작정 어학연수> 모두 포인트, 즉 목적과 이유가 없기에 어떠한 호기심도 관점도 얻을 수 없다.

     

     알랭 등 보통은 수많은 인물과 그들이 쓴 작품을 통해 여행을 가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제시한다.

     - 우리는 왜 여행을 떠나는가?

    - 일상의 무엇이 싫어서 비일상非日常의 공간으로 시간/노력/비용을 들여가며 떠나는가?

    - 그곳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 그것들은 일상에서 얻을 수 없는가?

     책을 차분히 읽으면 위의 질문들에 대한 답을 느낄 수 있다. 적어도, 여행의 목적에 대하여 고민하게 된다.

     

     알랭 드 보통과 함께 이야기를 진행하는 일문 중 '빈센트 반 고흐'의 만남이 가장 반가웠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에서 책만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한다고 깨달았다면 반 고흐를 통해 예술과 음악을 통해서도 거인의 어깨에 앉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들의 시선과 관점을 잠시나마 엿볼 수 있다. 반 고흐를 통해 프로방스의 올리브나무, 사이프러스 나무 등이 사람들에게 새로운 관점으로 보인다.

     

    p. 252. 나중에 반 고흐는 동생한테 파리에서 아를로 이사 온 이유를 두 가지 댔다. 첫째는 '남부를 그리고' 싶었던 것이고, 또 하나는 자신의 작품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이 남부를 '보도록' 돕고 싶었던 것이다. 그가 자신의 능력으로 그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심을 품었을지는 몰라도, 이 기획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믿음은 한 번도 흔들리지 않았다. 즉 화가는 세상의 한 부분을 그릴 수 있고, 그 결과 다른 사람들이 그것에 눈을 뜨게 해줄 수 있다는 믿음이었다.

     

     여행과 관련하여 반 고흐가 왜 등장하랴 싶겠지만 우리는 여행을 다니며 많은 아름다움과 만나게된다. 그 아름다움을 어떻게 바라보고 감상할 것인가, 의문이 생길 것이다. 세상은 너무나 넓고 다양한 방식으로 빛나기 때문이다. 예술가의 눈과 음악가의 귀, 작가의 감성을 빌려 아름다움을 그들의 어깨너머로 바라볼 수 있다.

     서당개도 3년이면 뭐다? 글을 안다는 말이 있듯이 거인들의 어깨너머로 바라본 세상의 아름다움과 관점을 <의식적으로> 소유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러스킨'이 등장한다. 그들의 어깨너머로 느낀 아름다움을 그저 '예쁘다, 좋다, 푸르르다, 그곳에 살고싶다...'고 넘기면 안 된다. 어떤 그림이나 풍경에 이끌리는 이유를 '의식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의식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은 두 가지 제시된다. 데생과 말그림이다. 말 그림은 말로 그림을 그리듯 묘사하는 것이다. 두 가지를 통해 세상을 차분하고 천천히 바라보면서 자신의 내면에 나타난, 그러나 표현할 수 없는 아름다움을 구체적인 사유심리적인 용어로서 분석함으로써 마음속에 수용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우리의 취향에 대한 설명을 얻게 되며, '미학' 즉 아름다움과 추함에 관하여 판단을 내리게 되는 능력도 생긴다.

     

     * 천부적인 재능이 없더라도 노력을 통해 세상의 아름다움을 소유할 수 있음에 감사하다.

     

     마지막으로 일상에서는 여행할 수 없을까? 우리의 현실에 묻혀있는 일상의 수천 가지 조각들을 수단이 아닌 목적과 관심으로 바라본다면 그 조각들이 수용 가능하다. 이 조각들을 통해 내 세상을 외적으로 그리고 내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여행은 곧 세상을 관심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새로이 느끼는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다. 이 수용성을 통해서 세상 어디든 여행할 수 있다. 비슷한 관점의 오영욱의 「그래도 나는 서울이 좋다」의 한 구절을 인용하며 감상을 마친다.

     

    *프롤로그 중. 

    5년 전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서울로 들어오며 다짐한 게 하나 있었다. 앞으로 펼쳐질 서울에서의 생활을 '여행하듯 살아보기'로 한 것이다. 보통 일상과 여행으로 구분되는 삶의 모습은 일상을 칙칙하고 우울한, 다시 말하자면 언제든 도피해야 하는 대상으로 폄하하게 했다.

    그리고 여행은 구원을 의미했다. 그런 이분법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물론 일상을 탈출할 때 느끼는 희열을 모르는 것은 아니었다. 다만 구원이라는 것이  오직 내가 살고 있는 바로 이곳. 을 제외한 다른 장소에서만 '잠시'존재할 리는 없었다. 일상도 충분한 가치가 있을 거라고 믿었다. 그리고 그건 일상이 여행처럼 매 순간 일탈과 느슨한 긴장의 연속으로 이루어 질 때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상을 일상이지 않게 하는 것. 그건 삶 자체를 여행으로 인식하면 되는 일이었다.

     p. 18. 여행은 비록 모호한 방식이기는 하지만, 일과 생존 투쟁의 제약을 받지 않는 삶이 어떤 것인가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여행에서 철학적 문제들, 즉 실용적인 영역을 넘어서는 사고를 요구하는 쟁점들이 제기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드물다. 여행할 장소에 대한 조언은 어디에나 널려있지만, 우리가 가야 하는 이유와 가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는 듣기 힘들다.

     

    p. 84. 모든 운송 수단 가운데 생각에 가장 큰 도움을 주는 것은 아마 기차일 것이다. 배나 비행기에서 보는 풍경은 단조로워 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지만, 열차에서 보는 풍경을 그럴 가능성이 전혀 없다. 열차 밖의 풍경은 안달이 나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그러면서도 사물을 분간할 수 있을 정도로 느리게 움직인다.

     

    p. 190. 시인(워즈워스)은 도시가 생명을 파괴하는 여러 감정을 만들어낸다고 비난했다. 사회 위계에서 우리의 지위에 대한 불안, 다른 사람들의 성공에 대한 질투, 낯선 사람들의 눈앞에서 빛을 발하고 싶은 욕망, 워즈워스의 주장에 따르면, 도시 거주자들은 뚜렷한 관점이 없기 때문에 거리나 저녁 식탁에서 이야기되는 것에 귀를 곤두세운다고 한다. 그들은 먹고 살기가 편해도 자신에게 진정으로 부족하지도 않고 또 자신의 행복을 좌우하지도 않는 새로운 것을 끊임없이 요구했다. 이런 혼잡하고 불안한 곳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진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 보였다.

     

    p. 300. 러스킨의 생각에 따르면, 데생이 아무런 재능이 없는 사람도 연습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그것이 우리에게 보는 법을 가르쳐주기 때문이다. 즉 그냥 눈만 뜨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살피게 해준다는 것이다. 눈앞에 놓인 것은 우리 손으로 재창조하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아름다움을 느슨하게 관차하는데서부터 자연스럽게 발전하며 그 구성 요소들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게 되고, 따라서 그것에 대한 좀 더 확고한 기억을 가지게 된다.

     

    3. 26.

    천안함 3주기, 그 분들을 추모하며.

     

     


    여행의 기술

    저자
    알랭 드 보통 지음
    출판사
    이레 | 2004-07-26 출간
    카테고리
    여행
    책소개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의 작가 알랭 드 보통의 여행 에세이...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