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
-
-
-
2003년 2월 18일, 대구지하철 참사 그리고 죽음.방향/생각 2013. 10. 26. 11:21
성년이 넘어 이 사건을 다시 돌아보게 된 계기는 전 고건총리님의 중앙일보 기고물#0을 통해서이다. 기사 내용도 인상 깊었지만 기사 속 사진이 너무나도 가슴이 아렸다. 에도 언급했지만 2003년 나는 13살 초등학생이었다. 나는 대구에 살지도 않았고, 생활반경도 집-초등학교정도만 걸어다녔지 대중교통은 이용하지 않았다. 지하철이란 건 타보지도 못한 내게는 아무런 사건도 아니었다. 그저 부모님들이 이 사건을 걱정하는 것만 걱정이 되는 정도였지. 또한 지금도 그렇지만 나는 아직 일상을 함께하는 사람과 사별한 경험이 없다. 그 사람을 영원히 못본다는건 무슨 의미일까. 어제까지 웃고 싸우고 장난치던 이를 영원히 볼 수 없게 된다는건 무슨 의미일까? 그렇다고 사별한 경험이 없는건 아니다. 같은 고등학교를 나온 친구도..
-
좋은말과 진심방향/생각 2013. 9. 22. 14:56
박광수님. 이름보다는 조선일보에 게제되었던 광수생각으로 유명하신 분이다. 광수생각을 찾아서 보는 독자는 아니었으나, 광수 생각에 워낙 따스한, 생각을 해볼만한 주제를 많이 던져주었기에 인터넷 공간에서 간간히 볼 수 있었다. 가족에 대한 생각, 사랑에 대한 생각, 삶에 대한 생각. 그런 생각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다른 이들에게 진심을 어떻게 전해야할까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오늘 박광수님의 프로필을 우연히 보게되었다. 그가 소중히 여기던 가족, 사랑, 삶에 대한 생각들이 진심에서 우러난 것이 맞을까? 싶을 정도로 충격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검색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으니 넘어가도록 하겠다. 내가 다루고 싶은 것은 좋은말과 진심의 관계이다. *2002 여성동아 인터뷰 진심이 없이 좋은글과 좋은말을 할 수..
-
-
지식과 지혜방향/생각 2013. 6. 2. 14:44
지식과 지헤를 잘못 생각해왔다. 지식은 책과 기억을 통해 얻어지고 유지된다. 깊은 이해라기 보다는 겉으로 느끼는 짧은 지. 영어나 수학공부. 형식지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지혜는 명상과 삶을 통해 얻어지고 체화된다. 무엇에 대한 깊은 이해. 무엇에 대한 성찰. 무언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으로부터 발아한다. 내가 책을 읽는 이유가 무엇인가? 단순히 지식을 쌓기 위함이 아니다. 교과서의 문제를 맞추기 위함이 아니다. 삶을 어떻게 살 것이가. 좋은 삶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한 과정이다. 다른 사람들의 해답을 통해 나만의 해답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책을 읽는 과정은 나의 속도에 맞게, 나의 이해에 맞추어 읽어나가야한다. 단순한 속독速讀과 다독多讀. 그것은 지식을 쌓는 과정일 뿐이다. ..